2025년도 서울시에서는 어르신, 청년, 장애인, 저소득층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복지 정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.
특히 일자리 지원, 주거 안정, 건강 복지 강화에 집중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더 많은 시민이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.
아래는 주요 복지 정책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.
1. 어르신(중장년·노인) 복지 정책
🔹 어르신 일자리 확대
- 2025년에는 7만 개 이상의 노인 일자리를 제공할 예정입니다.
- 공공기관, 사회복지시설, 민간 기업과 협력해 다양한 일자리를 만들고 있습니다.
- 대표적인 일자리로는 스쿨존 교통 안전 도우미, 공공시설 환경미화, 상담·돌봄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.
📌 신청 방법: 노인일자리 상담센터(☎ 1588-0060) 또는 서울시 50+포털(https://50plus.or.kr)
🔹 기초연금·복지 수당 확대
- 기초연금이 최대 40만 원까지 인상될 예정입니다. (소득 하위 70% 대상)
- 저소득층 어르신에게 추가적인 서울형 기초연금이 지원됩니다.
- 70세 이상 지하철 무료 이용 정책도 확대 논의 중입니다.
📌 신청 방법: 국민연금공단 또는 주민센터 방문
🔹 50+ 세대(중장년층) 지원 프로그램
- 50대 이상을 위한 재취업·창업 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됩니다.
- 중장년층을 위한 문화·여가 활동 지원도 강화됩니다.
📌 신청 방법: ‘서울시 50+포털’(https://50plus.or.kr)에서 신청
2. 청년 복지 정책
🔹 청년 월세 지원
- 월 20만 원씩 최대 10개월간 지원하는 청년 월세 지원금이 계속됩니다.
- 역세권 청년주택도 2025년까지 추가 2만 호 공급 예정입니다.
📌 신청 방법: 서울청년포털(https://youth.seoul.go.kr)
🔹 청년 취업·창업 지원
- **청년수당(월 50만 원 지급, 최대 6개월)**이 유지됩니다.
- AI 면접 지원, 대기업·중소기업 취업 연계 프로그램도 확대됩니다.
📌 신청 방법: 서울일자리포털(https://job.seoul.go.kr)
🔹 청년 금융 지원
- 학자금 대출 이자 전액 지원합니다.
- 신용회복 및 채무 조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📌 신청 방법: 서울청년포털에서 온라인 접수
3. 장애인 복지 정책
🔹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확대
- 장애인을 위한 공공기관 채용이 확대됩니다.
- IT·디자인·행정 업무를 중심으로 재택근무형 일자리를 지원합니다.
📌 신청 방법: 서울장애인일자리통합지원센터(https://www.seouljobs.or.kr)
🔹 장애인 이동권 개선
- 장애인 콜택시 차량 추가 운영합니다. (총 500대 이상 확대)
- 시내버스·지하철의 무장애 시설 확대합니다. (경사로, 엘리베이터 설치)
📌 신청 방법: 서울시 장애인 콜택시 앱 또는 다산콜센터(☎ 120)
🔹 장애인 돌봄 지원 확대
- 발달장애인 24시간 돌봄 서비스가 확대됩니다.
-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(바우처) 추가 지급됩니다.
📌 신청 방법: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
4. 저소득층·취약계층 지원
🔹 서울형 기초보장 확대
- 기초생활수급자 외에도 차상위계층까지 지원 확대됩니다.
- 생계급여 기준을 기존 소득 중위 30% → 35%로 완화됩니다
📌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신청
🔹 긴급복지 지원
- 갑작스러운 실직, 질병 등으로 생계가 어려운 가구를 위한 지원이 강화됩니다.
- 긴급 생계비 최대 100만 원 지원합니다.
- 공공임대주택 긴급 배정 확대
📌 신청 방법: 복지로(https://www.bokjiro.go.kr)
🔹 공공임대주택 확대
- 2025년까지 저소득층·1인 가구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5만 호 추가 공급
- 무주택자 대상 전세자금 대출 이자 지원
📌 신청 방법: SH공사(https://www.i-sh.co.kr)
5. 건강·의료 복지 정책
🔹 어르신·취약계층 의료비 지원
- 저소득층 의료비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.
- 찾아가는 건강 검진 서비스 확대합니다
📌 신청 방법: 서울의료원 또는 보건소 방문
🔹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
- 청년·중장년층을 위한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 무료 제공합니다.
- 우울증, 불안장애 치료비 지원 확대합니다.
📌 신청 방법: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(https://mentalhealth.seoul.go.kr)
6. 2025년 서울시 복지 정책 한눈에 보기
대상 | 주요 정책 | 신청방법 |
어르신(노인·중장년) | 노인 일자리 7만 개 확대, 기초연금 40만 원 인상 | 노인일자리센터, 주민센터 |
청년 | 청년 월세 지원 (20만 원/10개월), 취업·창업 지원 | 서울청년포털 |
장애인 | 장애인 콜택시 확대, 재택근무형 일자리 제공 | 서울장애인일자리센터 |
저소득층 | 긴급복지, 기초보장 확대 | 복지로, 주민센터 |
건강·의료 | 저소득층 의료비 최대 500만 원 지원 | 보건소 |
마무리
서울시는 2025년에도 더 많은 시민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시행할 예정입니다.
특히 일자리·주거·건강 지원을 중심으로 복지가 강화되며, 필요할 경우 주민센터나 관련 기관을 통해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📌 더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복지포털(https://welfare.seoul.go.kr)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